나무키우기/복분자

[스크랩] 복분자의 전정 및 시비

산야초경북 2008. 7. 13. 13:37

◈ 전정

 

  가. 하계 전정

  • 하계전정은 당년도 발생한 신초를 지상으로부터 30∼40cm(엽수 5∼6엽)지점을 적심하여 딸기를 수확할 수 있는 충실한 결과모지를 3∼4개를 확보하기 위해서 실시하여야 한다.
  • 신초의 발생은 봄부터 여름철까지 계속 신초가 발생되므로 2∼3회 적심하다.
  • 전정시 신초가 가는 줄기를 적심하였을 때 측지는 더 가는 줄기가 나와 딸기를 수확할 수 없으므로 0.7cm 이상의 신초만 전정하고 딸기를 수확할 수 없는 0.4cm 이하의 가는 줄기는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 하계전정후 다수의 1차 측지가 발생되는데 충실하지 못한 가는 줄기가 발생되면 제거해 준다.
  • 복분자 딸기를 수확한 후 결과지는 자연히 고사되는데 신초의 생육을 좋게 해주기 위해서 수확한 결과지는 제거해주는 것이 좋은데 여름철에 밑둥을 잘라놓은 후 이듬해 봄 부식된 후 제거해 준다.

 

 나. 동계전정

  • 동계전정은 해빙직후부터 새싹이 발아되기 전에 실기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잘라 놓았던 결과지도 함께 제거한다.
  • 복분자줄기는 3∼5m가지 자라게 되므로 그대로 관리하면 햇볕쪼임과 통풍이 나빠져 많은 양의 딸기를 수확할 수 없으므로 겨울철 동사가지와 불필요한 가지는 정리한다.
  • 전정위치는 나무의 생장상태를 고려하여 덕높이보다 20∼30cm 윗부분에서 잘라주고 줄에 고정시키다.

◈ 시비

  • 복분자 밭의 비료는 토양의 비옥도, 복분자 나무의 수령에 따라 시비량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시비량을 질소 가리는 총량의 70%을 기비로 나머지 30%는 추비로 사용하고, 인산질비료는 전량 기비로 준다.
  • 기비사용은 3월 15일경 이른봄 복분자 나무가 발아되기 시작하면 사용하고 추비는 5월 10일경 개화시에 사용한다.

 

2년생 복분자의 시비시험 결과

시비량(kg/10a)

생 육 상 황

평균과중
(g)

수확량
(kg/10a)

당도

비고

질소

인산

가리

신초수
(개)

신초직경
(cm)

엽장
(cm)

엽폭
(cm)

5

4

4

4.5

14.6

11.4

7.2

2.72

892

11.3

 

10

8

8

4.3

14.5

11.4

7.3

2.74

934

11.3

 

15

12

12

4.8

14.8

11.6

7.5

2.78

943

11.4

 

 

   4년생 복분자의 시비시험 결과

시비량(kg/10a)

생 육 상 황

평균과중
(g)

수확량
(kg/10a)

당도

비고

질소

인산

가리

신초수
(개)

신초직경
(cm)

엽장
(cm)

엽폭
(cm)

8

6

4

5

14.4

11.2

7.3

2.20

643

11.8

 

16

12

12

5

14.9

11.2

7.3

2.39

678

12.1

 

22

18

18

5

14.2

11.1

7.1

2.31

685

12.0

 

 

  • 비료의 종료는 특별히 선택하지 않으나 수도용 복합비료중 21-17-17 복합비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다수확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기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 복분자를 수확한 후에는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은데 나무의 수세가 너무 약하여 잎이 황화되면서 낙엽되면 2차로 추비를 사용하여 늦가을까지 계속적으로 나무가 생작할 수 있도록 한다.
  • 이때 추비를 너무 늦게 많이 주게되면 신초가 너무 연약하여 겨울철 동해피해가 심하므로 2차 추비사용시에는 유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한울농원 자료-
출처 : [우수카페]곧은터 사람들
글쓴이 : 서리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