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가시오가피 번식기술
![]() |
가시오갈피 번식기술 | |||||||||||||||||||||||||||||||||||||||||||||||||||||||||||||||||||||||||||||||||||||||||||||||||||||||||||||||||||||||||||||||||||||||||||||||||||||||||||||||||||||||||||||||||||||||||||||||||||||||||||||||||||||||||||||||||||||||||||||||||||||||||||||
![]() |
기관 : 강원도농업기술원 | |||||||||||||||||||||||||||||||||||||||||||||||||||||||||||||||||||||||||||||||||||||||||||||||||||||||||||||||||||||||||||||||||||||||||||||||||||||||||||||||||||||||||||||||||||||||||||||||||||||||||||||||||||||||||||||||||||||||||||||||||||||||||||||
![]() |
성명 : 한종수 | |||||||||||||||||||||||||||||||||||||||||||||||||||||||||||||||||||||||||||||||||||||||||||||||||||||||||||||||||||||||||||||||||||||||||||||||||||||||||||||||||||||||||||||||||||||||||||||||||||||||||||||||||||||||||||||||||||||||||||||||||||||||||||||
![]() |
전화 : 033-458-4783 | |||||||||||||||||||||||||||||||||||||||||||||||||||||||||||||||||||||||||||||||||||||||||||||||||||||||||||||||||||||||||||||||||||||||||||||||||||||||||||||||||||||||||||||||||||||||||||||||||||||||||||||||||||||||||||||||||||||||||||||||||||||||||||||
가시오갈피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해발 600m이상의 고산지대 심산계곡에 자생하는 저온 음지성 식물이다. 자생지에서 가시오갈피의 열매가 관찰되기는 하나 등숙이 되지 않은 상태로 낙과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결실이 된 경우에도 대부분 미숙배로 남아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생번식에 어려운 점이 많다. 최근까지도 대부분의 재배농가에서는 가시오갈피 묘목을 생산할 때 영양번식기술인 삽목이나 분주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방법에 의존할 경우 모주가 한정적이며 발근율이 저조한 것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묘목을 대량번식 시킬 경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 가시오갈피의 수요 및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묘목공급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고가의 국외산 종자를 수입하여 묘목을 생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발아율 등이 저조하며, 원산지 등이 불명확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비싸게 거래되고 있어 많은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1. 실생번식 가시오갈피는 6월 중하순~7월 상순경에 개화하여 8~9월까지 성숙하는데 국내에서 자생하는 가시오갈피는 여름철 고온으로 인하여 종자가 탈립하거나 미숙배종자로 자연상태에서는 발아가 거의 불가능하며, 일부 고산지대 자생지에서만 성숙된 자방을 관찰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국내 자생하는 가시오갈피는 결과지(2~3년생)마다 개화되어 1화축에 90~150개의 과실이 달리고 각 과실은 5심피로 이루어져 종자가 5립씩 형성된다. 그러나 전체 종자 중 일부분에서만 등숙과정이 진행되며, 대부분은 발육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실률 및 등숙률 향상에 대한 기술개발을 향상시킬 경우 종자에 의한 종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 전정 및 적화처리에 의한 결실률 향상 가시오갈피 종자 결실률 향상을 위하여는 결과지 전정 80%, 적화 30%처리에서 적뢰처리 대비 종자 등숙률보다 18~23%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별 층적처리(15±5℃ 모래 층적상에 치상, 매일 1회 관수)에 의한 개갑률은 처리구 모두 19~38%로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나(표 1), 국내산 종자를 이용한 실생묘 대량생산의 가능성이 인정된다. 표 1. 전정 및 적화가 등숙 및 개갑에 미치는 영향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
주 : 1) 전정시기 ; 3월 2) 적화시기 ; 6월 중순
채종 당시 종자의 형태적 특성을 보면 과육만을 제거한 종자는 길이 7.1㎜, 폭 3.4㎜, 두께 1.47㎜, 천립중이 18.5g이며, 내과피를 제거한 종자는 길이 5.9㎜, 폭 2.8㎜, 두께 0.96㎜, 천립중은 11.0g으로 나타났다(표 2). 표 2. 가시오갈피 종자의 형태적 특성 (호시 : 1995)
나. 생장조정제 및 액비처리에 의한 종자 등숙 및 개갑률 향상 생장조정제 및 액비처리에 의한 종자등숙률은 생장조정제 NAA 500ppm과 액비 가루키 H 500배액에서 각각 74%, 73%로 높았다. 층적처리(15±5℃ 모래 층적상에 치상, 매일 1회 관수)에 의한 개갑률은 가루키-H 500배액 살포에서 69%로 가장 높았다(표 3). 액비종류별로 주요 성분을 보면 나르겐은 질소, 부리오는 인산, 가루키-H는 칼슘으로 가시오갈피 종자등숙에 미치는 영향은 질소 성분보다 칼슘 성분이 효과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표 3. 생장조정제 및 액비처리에 의한 종자 특성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
주) 생장조정제 처리시기 : 6월 중순
다. 석회액비시용에 의한 종자 등숙 및 개갑률 향상 여러 종류의 생장조정제 빛 액비처리 시험결과 칼슘액비(시판액비 가루키-H)를 엽면살포하였을 경우 가시오갈피 종자의 등숙률 뿐만 아니라 개갑률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칼슘액비의 종류, 시용농도, 시용횟수 등에 대한 시험결과 질산칼슘(Ca(NO 3 ) 2 )용액을 Ca기준 250ppm 수준으로 조제하여 개화 후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할 경우(표 4, 그림 1) 등숙률(79.1%) 및 초기 개갑률(38.7%)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표 4. 가루키-H 엽면시용에 의한 종자 등숙 및 개갑률 비교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2000)
주 : 1) 개갑률 조사 : 후숙처리 50일후 조사 2) 가루키-H : 수용성 석회 17% 500배에 희석하여 시용
라. 종자 파종 및 발아율 가시오갈피 개갑 종자를 온도조건 8~10℃에서 파종한 결과 파종 10일후부터 발아되기 시작하여 발아종까지는 약 20~25일이 소요되었으며, 개갑종자의 발아율은 70~80%정도로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 육묘 출아 후 본엽 2~3매시(파종 50일 후)에 9㎝ 폿트에 이식하여 육묘한 다음 본엽 4~5매 때 본포에 정식한다. 육묘상토는 물 빠짐이 양호한 소재(마사 또는 사양토)를 이용하여 잘 썩은 유기물을 혼합한 상토를 사용하여 육묘한다.
바. 정식 실생묘의 정식은 본엽이 4~5매시 본포에 정식하며, 50% 차광시 성묘율이 높게 나타났다.재식거리는 15×15㎝로 하여 정식 1년 후 정식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토지이용면에서 유리하며, 정식거리는 수확년한에 따라서 정식 3년차 수확을 할 경우는 0.9×0.9m, 정식 5년 후 수확을 목적으로 재배시는 1.2×1m로 하는 것이 관리에 유리하다. 표 5. 이식시기에 따른 묘의 활착 및 생육특성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2001)
주) 조사시기 : 2000년 9월 10일, 이식시기(월.일) :
표 6. 차광수준별 생육상황-정식 170일 후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2001)
주 : 1) 차광시기 : 5월 상순~9월 2)조사일 : 2000. 10. 10. 3) 성묘율 : 일정 규격묘 수준(경경 0.5㎝이상)에 도달한 개체비율을 산출치 (활착률×주간지형성률/100) 2. 삽목번식 삽목의 종류는 삽수의 채취부위에 따라 경삽(줄기), 엽삽, 엽아삽, 근삽으로 구분 하며, 지삽(枝揷)삽목시기에 따라서 숙지삽(전년도 가지를 3상~4월하순), 녹지삽(당년에 잘란 신초 6중~7월하순), 반숙지삽(당년에 잘란 경화지를 9상,중)으로 구분하며, 가시오갈피와 같이 삽목번식이 어려운 관목류는 휘묻이(복조, 맹아지취목)나, 분주에 의한 번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가. 숙지삽 오갈피속의 종묘 대량생산을 위하여 삽목시기를 3월 26일부터 15일 간격으로 3회, 발근촉진제를 NAA+IBA 1,000ppm를 처리한 결과 가시오갈피, 오갈피모두 3월 26일의 조기삽목에서 발근율이 높았다. 표 7. 오갈피 종류 및 삽목시기별 발근 효과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또한 가시오갈피 숙지삽목에 옥시베론 0.02% 에 30초간 침지하여 펄라이트(1)+버미큐라이트 (1) 상토에 삽목했을 때 발근율이 44.4%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기존의 숙지삽 발근율 20%보다 월등히 높은 발근 효과가 있었다. 표 8. 발근촉진제 종류별 발근 효과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표 9. 삽목용토별 Callus형성 및 발근율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나. 근삽 근삽의 적정 삽목시기는 3월 30일에서 발근율이 73.3%로 높아 뿌리의 생육활동이 시작되기 이전인 4월에 실시하는 것이 번식에 유리하다. 근삽길이는 15㎝ 삽목에서 79% 발근율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근경의 효율적인 이용 및 근경길이 100m기준 득묘수에서는 10㎝ 삽목이 유리하였다.
표 10. 근삽발근촉진제 종류별 발근 효과 (강원북부농업시험장 : 1999)
3. 분주 가시오갈피 계통은 종자가 대부분 미숙배이기 때문에 실생번식이 까다롭고 삽목에 의한 번식도 발근율이 저조한 편이다. 가시오갈피와 같이 흡지 발생이 비교적 잘되는 관목식물은 분주에 의한 새로운 개체를 증식시키는 것도 한 번식방법이 될 수 있다.가시오갈피는 정식 후 4~5년이 지나면 흡지 발생이 원활하여 한 그루에서 7~8분의 분주가 가능하지만 분주시기를 단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른 봄(3~4월상순경)에 지상부를 5㎝정도 남기고 원줄기를 자른 다음 복조(맹아지 취목) 10㎝ 깊이로 처리하면 당년에 1~2본의 새로운 분주묘 생산이 가능하다. 참 고 문 헌 박문수 외. 1993. 가시오갈피 자생지 환경특성조사 연구. 시험연구보고서(호시).466~471. 박호기. 1996.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의 형태, 발아 및 생육특성. 전북대학교 박사논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