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키우기/매실

[스크랩] Re:매실 문의 드립니다.

산야초경북 2011. 6. 17. 11:59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1) 피해

이 병에 의한 매실의 피해는 과실의 병반형성에 의한 상품가치 저하뿐만 아니라 유과기에 조장되는 낙과는 큰 손실을 가져온다. 발병정도가 심하거나 조기에 발병하면 낙과하나 발병정도가 가벼우면 낙과하지 않고 나무 위에 피해과로 남는다. 과실의 초기증상은 흑색소형반점이지만 과실이 비대하면 함몰한 동심원위 대형반점이 된다.

(2) 병원균의 생활사

잿빛곰팡이병균은 다발성으로 많은 작물에 기생하기 때문에 매실의 전염원은 매실과수원 이외의 채소, 화훼, 잡초 등의 발병식물로 추정된다. 이 병원균의 발병적온은 최저 2℃, 최고 31℃, 최적 23℃이며 매실의 개화는 평균기온 10℃이하를 보이지만 낙화기∼유과기의 기온은 균의 번식적온에 해당한다.

(3) 발생조건

  • (1) 낙화기∼유과기에 강우가 많을 때 다발하며 균의 발육적온은 20℃이지만 적온외에 아침, 저녁의 급격한 저온도 균의 번식을 조장한다.
  • (2) 개화기가 늦은 해가 개화기가 늦은 품종에 발생이 많은 경향으로 이것은 낙화기∼유과기와 봄비가 많은 시기와 중첩되기 때문이다.
  • (3) 결과량이 많은 나무나 소매에 발생이 많다.

(4) 방제대책

  • 방풍수의 정비, 간벌 등에 의해 과원이 다습하지 않도록 통풍과 햇빛쪼임이 양호하게 한다.
  • 봄에 제초작업을 철저히 하며 토양배수에 힘쓴다.
  • 개화가 많은 나무는 특히 비배관리에 힘써 과실의 초기발육을 촉진시킨다.
  • 땅에 떨어진 발병과는 다음해의 전염원이 되므로 중경에 의해서 과실을 파 묻는다..
  • 방제약제로는 노부랄 수화제나 노리란 수화제 등이 있다.

 

출처 : 특수작물을 사랑하는 모임
글쓴이 : 맥가이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