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害虫 防除
1. 病의 生態와 防除法
病害의 방제에서 기본적인 것은 早期防除와 藥劑에 의한 방제보다 이전의 病에 대한 生理, 生態를 파악하는 재배방법이나 관리에 따라 방제하므로 병의 발생을 적게 하는 것이다.
病害를 완전히 방제한다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므로 가능한, 病原菌의 密度를 적게 하여 防除效果를 높여야 한다. 病害가 많이 발생되면 농약을 살포하는 노동력도 많이 소요되며 방제효과도 半減되기 때문에 早期防除에 신경을 집중해야 하며 그리고 移植할 때 無病苗木을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신용이 있는 苗木업자를 잘 선택하든지 自家養苗를 하여 과수원에 病原菌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病原菌의 1년 동안의 生活生態를 잘 파악함으로서 病原菌이 제일 약하여 방제가 쉬운 시기에 농약을 처리하면 방제효과도 높이고 농약도 절약되며 노동력도 절감시킬 수 있다.
① 越冬하고 있는 被害받은 가지를 잘라내어 病原菌의 越冬을 줄인다.
② 新梢로의 제 1차 傳染을 방지한다.
③ 雨期 등에 傳染이 되기 쉬운 환경을 만들지 않도록 한다.
④ 가을의 傳染을 방지하여 病原菌의 越冬을 막아 주는 등의 목표를 설정하여 病害를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1) 黑星病
흑성병은 잎, 가지, 열매 모두가 걸리는데 잎에서는 처음에 暗褐色의 1∼3㎜의 적은 圓形斑點을 만들고 곧 건조되어 구멍이 뚫린다.
新梢에서는 周圍의 표피가 부풀어올라 둥그런 灰色의 斑點을 만든다. 果實에서는 햇빛이 닿는 부분이 걸리기 쉽고 果梗部 주변이 黑褐色의 작은 圓形의 斑點을 만들고 病斑이 많을 경우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果皮에만 전염되고 果肉속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病原菌은 가지의 病斑안에서 越冬하여 4∼6월에 胞子를 만들고 비에 의해 차차 전염된다. 비가 적은 해나 지역에서는 피해가 적고 반대로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피해가 크므로 장마철이 되기 전에 수확하면 피해가 적어질 수 있다.
<방제법>
① 病斑이 있는 가지는 겨울 剪定으로 잘라낸다.
② 着果된 果實은 잎의 아래쪽으로 整枝, 剪定을 한다.
③ 겨울에 石灰硫黃合劑 10倍 液을 撒布한다.
④ 4∼6월 사이에 降雨日數에 따라 적어도 3회 정도 撒布한다.
藥劑는 水和硫黃 400倍, 다코닐 800倍, 톱신M水和劑 1500倍, 벤레이트水和劑 600倍 등이 있으며 톱신이나 벤레이트水和劑는 連用하게 되면 菌이 耐性이 생겨 방제효과가 좋지 않으므로 연용을 피해야 한다.
(2) 매실 潰瘍病
매실의 궤양병은 黑星病에 이어 과실에 큰 피해를 주어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킨다. 病原菌은 細菌으로 예전에는 窟孔性細菌病이라고 불리어 왔으며 잎, 新梢, 果實모두 갈리며 잎에서는 發病이 빠르고 어린잎에도 많이 발생한다. 病斑은 白色斑點이 차차 紅色으로 되어 圓形이나 不定形으로 되며 被害부위는 떨어져 나가 구멍을 만들고 조기낙엽의 원인이 된다. 新梢의 病斑은 褐色에서 점차 黑紫色이되고 病斑이 많아지면서 아래로 갈라지며 樹胎를 分泌한다.
과실의 경우에는 黑紫色의 病斑을 만들고 심하면 落果되기도 하며 가벼운 때에는 病斑部가 단단하게 되기도 한다.
<방제법>
① 겨울에 剪定을 하여 病斑이 있는 가지는 잘라낸다.
② 無病苗를 구입하거나 苗木을 철저히 소독하여 심는다.
③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발생하기 쉬우므로 徒長하지 않을 정도로 施肥量을 조절한다.
④ 바람을 심하게 받는 과수원은 防風林이나 防風壁을 설치한다.
⑤ 이른봄의 發芽直後부터 2∼3회 抗生劑(스트렙토마이신)를 살포한다.
(3) 白紋羽病
이병에 걸리면 뿌리에 전염되어 흰색의 가는 깃털 같은 紋羽狀의 곰팡이가 생기며 樹勢가 약한 나무는 줄기 밑 부분을 파보면 큰 뿌리가 層狀으로 褐色의 썩은 뿌리를 볼 수 있으며 심하면 나무가 枯死한다.
<방제법>
① 無病苗를 심거나 전염된 것으로 의심될 때는 1년간 假植하여 檢定한 후 심는다.
② 심는 구덩이에 거친 유기물 대신 잘 썩힌 두엄 등을 넣는다.
③ 發病한 나무를 빨리 발견하고 衰弱하지 않게 관리한다.
④ 피해가 심한 나무는 제거하고 가는 가지도 燒却하며 그 자리에는 논흙을 넣어 흙을 바꿔준다.
⑤ 3월이나 11월에 피해를 받은 뿌리를 제거한 후 톱신M수화제 500배액을 토양에 注入하여 남은 뿌리를 소독한다.
(4) 縮葉病
寒冷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新梢의 伸長과 동시에 발생함으로 伸長을 나쁘게 하여 피해를 받은 잎은 두껍고 紅色으로 된다. 이 병에 전염되면 6월경 잎의 표면이 灰白色 가루로 덮이며 나중에는 검게 썩어 落葉이 진다. 病原菌은 胞子상태로 芽(눈)에 寄生하여 越冬한다.
<방제법>
① 겨울에 石灰硫黃合劑 10倍 液을 충분히 뿌려 준다.
② 봄에 피해를 받은 新梢를 제거 燒却한다.
(5) 炭疽病
과실이 성숙되는 5∼6월 사이에 과실에 水浸狀의 病斑이 발생하고 그 후 커지며 가운데가 움푹 패이며 褐色으로 되며 이 곳에 胞子가 단단하게 굳어 덩어리로 된다. 이 胞子는 가지나 被害果의 組織안에서 越冬하여 다음해 봄의 비와 바람에 의해 傳染되기도 한다.
<방제법>
① 마른 가지를 剪定할 때 잘라낸다.
② 5∼6월의 降雨가 많을 때 2∼3회 약제방제를 해준다.
(6) 菌核病
매실의 菌核病에는 灰色곰팡이병(Botrytis)으로 5∼6월의 成熟期에 발생되며 豊作인 해에 발생되기 쉽다. 病斑은 대형의 茶褐色으로 움푹 패이는 斑紋으로 된다.
<방제법>
① 被害를 받은 果實은 모아서 땅에 묻는다.
② 開花期 전후에 벤레이트수화제 3000倍 液과 톱신M수화제 1500倍 液을 撒布한다.
(7) 흰가루병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가지가 복잡하게 엉겨있어 通風이 좋지 않을 때 잘 발생되며 잎의 표면에 淡黃色의 斑點이 생기고 잎의 뒷면에는 흰가루 狀態로 덮이고 이어서 淡紫色으로 된다. 이병은 조기낙엽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잎의 뒷면을 잘 관찰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방제법>
① 떨어진 낙엽은 모아서 燒却한다.
② 가지와 잎을 통풍이 잘 되도록 정리를 해준다.
③ 5∼6월에 2회 정도 톱신M수화제1500倍 液과 벤레이트수화제3000倍液, 水和硫黃400倍 液을 뿌려 준다.
2. 害蟲의 生態와 防除法
病害와 마찬가지로 害蟲방제의 기본도 生態를 알고 害蟲이 가장 약하여 防除效果가 높은 시기에 약을 주어야 효과적이고 다음과 같이 방제하는 방법이 좋다.
① 害蟲을 먹어버리는 天敵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 할 것.
② 해충이 좋아하는 光이나 냄새를 이용하는 誘引殺蟲과 싫어하는 光과 냄새를 이용하여 해충이 忌避하도록 하여 피해를 줄인다.
③ 재배나 관리방법으로 해충의 번식과 活動을 억제시킨다.
④ 마지막 수단으로 안전한 藥劑로 방제한다.
과수원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동물이나 昆蟲類는 서로 먹고 먹히고 하는 虫의 세계는 動的인 平衡關係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계에 있는 과수원에서 藥劑를 撒布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撒布하는 藥劑가 죽이는 벌레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고 撒布하면 안 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殺蟲하려는 벌레는 죽일 수 있으나 또 다른 귀찮은 害蟲이 늘어나게 되며 殺蟲과 동시에 害蟲을 먹어 없애는 天敵까지 죽이기 때문에 결국 藥劑를 이용하지 않으면 害蟲을 방제할 수 없게 된다.
(1) 매실 흰介殼虫
매실 흰介殼虫 암컷의 모양은 둥글고 등이 볼록하며 白色이나 灰白色이며 수컷의 모양은 길이가 1㎜ 정도로 長方形이며 白線이 있다.
1년에 3회 발생하며 成蟲狀態로 越冬하며 5월 상, 중순이 제1세대, 7월상, 중순이 제2세대, 9월 상, 중순이 제 3세대이기 때문에 이 시기가 藥劑防除의 適期가 되므로 너무 빠르거나 또 너무 늦을 때는 防除의 효과가 떨어진다. 이 해충은 繁殖力이 매우 강하고 살충제에 대한 抵抗力도 강하기 때문에 완전방제가 아주 곤란하다.
<방제법>
① 害蟲의 越冬期인 12월(落葉期)에 機械油乳劑20倍를 撒布한다.
② 害蟲의 發牛期에 스프라사이드 乳劑1500倍 液과 사리치온 乳劑 및 水和劑1000倍 液을 撒布한다.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殺蟲劑에 대한 抵抗力이 강하지만 년간 3회 撒布時期가 있으므로 조금이라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適期防除를 한다.
(2) 진딧물 류
매실의 진딧물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어린잎이 나오면서부터 잎의 뒷면에 모여 汁液을 빨아먹으므로 잎이 밖으로 말리게 하며 新梢의 끝 부분을 加害하기 때문에 伸長을 停止시켜 樹勢를 약하게 하여 落果를 시킨다. 7월에 날개가 생긴 암컷은 성충이 되어 다른 곳으로 移動을 하기 때문에 그 후의 新梢는 피해가 적다. 또 이른봄에 방제를 게을리 하게되면 잎이 展開되지 않아 生理落果를 초래하며 다음 해의 저장양분의 蓄積도 부족하게 되므로 結實不良의 原因으로 이어진다.
또한 가을에 매실나무로 다시 移動한 진딧물은 가지의 芽(눈) 근처에 産卵을 하고 卵形態로 越冬하여 다음해에 피해를 주며 진딧물이 汁液을 빨아 상처를 낸 부위에는 각종의 바이러스 병과 분비물에 의한 그을음 명을 발생시킨다.
<방제법>
① 3월말의 發芽期가 가장 중요한 防除適期로 이 시기를 놓치지 말고 殺蟲劑를 撒布한다.
② 5월경에 다시 한번 방제를 해서 진딧물의 피해를 막는다.
(3) 매실송충이
매실송충이는 3∼4월에 1회 발생하여 새로 나오는 芽(눈)와 잎을 加害하며 幼蟲은 가지의 가랑이에 系(실)로 天幕모양의 집을 만들어 成長하면서 굵은 가지까지 뻗어나가면서 夜間에 加害하며 5월 하순∼6월 중순에 成蟲이 되고 작은 가지에 産卵하고 卵狀態로 越冬한다.
<방제법>
① 송충이의 알은 작은 가지에 産卵을 하기 때문에 剪定할 때 産卵한 가지를 잘라 燒却한다.
② 3∼4월의 發生初期에 殺蟲劑로 방제한다.
3. 病害虫 防除曆
(1) 休眠期의 防除
落葉이 진 후부터 開花할 때까지의 겨울에 하는 藥劑撒布는 機械油乳劑와 石灰硫黃合劑가 있는데 機械油乳劑는 매실 흰介殼虫을 대상으로 撒布를 하는데 介殼虫이 적을 때에는 작은 가지가 마르거나 開花가 不順하게 되기 때문에 介殼虫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 한 撒布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石灰硫黃合劑는 膏藥病, 黑星病, 炭疽病, 菌核病에 有效하다. 注意를 할 사항으로는 花芽가 커지기 전에 撒布해야하며 이 시기에는 剪定이라고 하는 큰 작업이 있는데 병에 걸린 가지는 반듯이 잘라내는 일이 開花以後의 防除를 容易하게 하기 때문에 剪定으로 越冬病害가지를 충분히 잘라 제거하는 것이다.
(2) 開花부터 發芽, 잎의 展開初期까지의 防除
開花부터 잎이 나오기 시작할 때까지는 매실이 病害虫의 被害여부를 결정 질 정도로 중요한 방제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진딧물과 송충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에 농약을 살포하고 灰色곰팡이병은 이른봄의 降雨가 많을 때 발생하기 쉬우므로 開花直後에 톱신M수화제나 벤레이트를 뿌려주면 黑星病과 같이 방제를 할 수 있다. 潰瘍病이 많은 과수원의 경우에는 開花直後부터 發芽期사이에 抗生劑를 뿌려주면 과실의 被害가 적어진다.
이 시기에는 방제를 많이 하게 되므로 殺菌劑와 殺蟲劑를 混用하여 살포를 하는 일이 많은데 3종류 이상의 藥劑를 混合하여 撒布할 경우 품종이나 樹勢에 따라 藥害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3종류 이상의 藥劑를 混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黑星病에 대해서는 톱신M수화제나 벤레이트가 효과가 있고 灰色곰팡이병에도 잘 듣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데 耐性菌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果實이 크는 동안에는 水和硫黃劑나 다이센 등을 倂用하는 것이 좋다.
(3) 新梢伸長과 果實發育期의 防除
잎이 病害를 받으면 早期落葉의 원인이 되어 果實의 商品價値를 저하시킨다. 黑星病의 防除에는 톱신M수화제나 벤레이트를 撒布하는데 耐性菌의 문제가 있으므로 水和硫黃劑나 다이센을 사용한다.
收穫期까지 藥劑가 나무나 잎에 付着하여 있다면 마지막으로 벤레이트를 撒布하여 방제를 더욱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潰瘍病의 방제는 黑星病防除藥劑에 抗生劑를 混用하여 뿌려주어 잎이 궤양병에 걸리지 않게 하여 早期落葉을 막아 준다. 한편 진딧물과 介殼虫, 송충이 등의 虫들은 發生時期를 확인하여 藥劑로 適期防除를 하고 10일 후에 2차 방제로 效果를 높혀 주는 것이 중요하다.
(4) 收穫期부터 落葉期까지의 防除
收穫期까지 防除가 충분히 되어 있다면 病害는 거의 걱정이 없지만 蟲害는 아직 발생이 되기 때문에 수확했다고 안심할 수가 없으므로 2회 및 3회의 발생상태를 잘 확인하여 越冬하려고 하는 害蟲들을 9월과 10월에 줄기와 가지는 물론 잎에도 적용약제를 충분히 뿌려 방제한다.
'나무키우기 > 매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매실나무재배 (0) | 2008.07.12 |
---|---|
[스크랩] 전지의 중요성 (0) | 2008.07.12 |
[스크랩] 매실의 안정생산 재배 기술 (0) | 2008.07.12 |
[스크랩] 고품질 매실 재배기술 (0) | 2008.07.12 |
[스크랩] 梅實栽培의基礎知識 (0) | 2008.07.12 |